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6994706/skin/images/tistorypostlink.js

AI 마케팅 도구 모음

[도구 리뷰] DALL-E 3로 뽑아낸 미친 비주얼, 실전 활용 후기

미래소년_Tim 2025. 3. 27. 11:06
반응형
SMALL

ChatGPT의 미친 이미지 생성 기능 

 

DALL-E 3 모델의 E는 무슨 의미

DALL-E에서 'E'는 "WALL-E" 영화의 로봇 캐릭터에서 따온 것입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DALL-E는 초현실주의 화가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í)**와 픽사의 귀여운 로봇 캐릭터 WALL-E의 이름을 결합한 이름입니다.

여기서의 E는 WALL-E의 **"E"**를 의미하며, "Electronic" 혹은 "Explorer"와 같은 기술적이고 탐험적인 뉘앙스를 담고 있습니다. 즉, DALL-E는 인공지능이 예술적 창의력(Dalí)과 기술적 혁신(WALL-E)을 결합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이미지를 생성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1) 웹툰 기능

웹툰 기능은 이미지 생성 기능을 활용해 대화형 스토리나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웹툰 형식의 이미지를 만들어주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다만, 이 기능은 GPT가 텍스트 기반 스토리나 콘티를 받아서 장면별로 이미지 생성 툴을 통해 그림으로 제작해주는 방식으로 작동하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캐릭터 콘셉트, 배경, 장르, 컷 구성 등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 웹툰 기능이 가능한 일:

  1. 시나리오 자동 생성
    • 요청하면, 장르(예: 판타지, 로맨스, SF, 학원물 등)와 설정(캐릭터 성격, 세계관 등)에 맞춰 짧은 스토리를 작성해줍니다.
    • 이후 컷별로 분할된 스토리보드 형태로 제시할 수 있습니다.
  2. 컷별 이미지 생성
    • 각 컷에 맞는 그림을 AI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만들어줍니다.
    • 스타일(웹툰풍, 만화풍, 디즈니풍, 리얼풍 등)과 컬러톤(밝음/어두움/모노톤 등)을 선택 가능합니다.
    • 캐릭터 외형, 표정, 포즈, 배경 등도 세부 조정 가능.
  3. 웹툰용 대사 추가 및 편집 가이드
    • 생성된 컷 이미지에 들어갈 대사, 효과음, 설명 문구 등을 제안해주고, 배치 가이드도 제공할 수 있습니다.
  4. 연재 콘셉트 제안 및 시리즈화 계획
    • 한 번 제작에 그치지 않고, 스토리를 이어갈 수 있는 연재 플랜과 시즌 구성을 짜주는 것도 가능합니다.
  5. 실제 업로드용 최종 패키징 가이드
    • 픽셀 규격, 파일 형식, 플랫폼별 요구사항(네이버 웹툰, 카카오페이지, 레진코믹스 등) 맞춤 안내도 가능.

🌟 실제 사용 예시 흐름

1️⃣ "학원 로맨스 웹툰 콘셉트와 캐릭터 3명을 만들어줘"
→ AI가 스토리와 캐릭터 세팅을 제안.

2️⃣ "이 시나리오로 4컷 웹툰 콘티 짜줘"
→ 컷별 상황과 대사 초안 제공.

3️⃣ "컷 1번은 밝은 교실 배경에 긴 머리 여주인공이 창밖을 바라보는 장면 생성해줘"
→ AI 이미지 생성으로 바로 제작.

4️⃣ 필요 시 색감/포즈/표정 수정 지시 후 재생성

5️⃣ 웹툰 형식으로 완성 및 시리즈화 방향 제안


✅ 강점

  • 아이디어 → 스토리 → 이미지 → 편집 → 업로드 준비까지 전 과정을 지원.
  • 창의적인 시나리오 생성이 빠르며 수정과 확장도 용이.
  • 이미지 퀄리티가 점점 좋아지고 있으며, 원하는 스타일에 맞춰 반복 학습 및 조정 가능.

⚠️ 한계점

  • 아주 정교한 캐릭터 지속성(같은 인물의 얼굴을 여러 컷에 완전히 일치시키는 것)은 아직 제한적.
  • 대규모 웹툰 프로젝트에는 프로 작가의 터치가 필수.
  • AI 이미지의 저작권 및 상업적 활용은 플랫폼마다 규정 확인 필요.

 

🎬 웹툰 시나리오 제목: 《시간 탐정 지후》

📚 대상  : 초등학교 3~5학년
(시간 계산, 역사적 사건과 시대 구분을 학습하는 시기)

 

🖼️ 컷 구성 및 시나리오

✅ 컷 1: 호기심 소년, 이상한 문제를 만나다

  • 장면 설명: 교실. 지후가 수학 문제집을 풀고 있다.
  • 대사
    • 지후(혼잣말): “엥? 시계가 거꾸로 돌고 있어… 뭐지 이 문제?”
    • 문제지: "시간의 틈을 찾아라. 조선시대에서 고려시대로 가는 길은?"
  • 이미지 연출:
    • 문제지에 시계 그림이 있고, 그 주위에 빛나는 포탈 문양.
    • 지후의 손끝이 문제를 가리키는 순간, 눈이 커지며 빛에 빨려 들어간다.

✅ 컷 2: 조선시대 도착! 해시계를 만나다

  • 장면 설명: 한옥 마당. 옷이 한복으로 바뀐 지후가 깜짝 놀람.
  • 대사
    • 지후: “여긴… 조선시대? 옷도 왜 이래!”
    • 어르신 등장: “시간을 되돌리려면 해시계 문제를 풀어야지.”
    • 해시계 옆 표지판: “현재 시각은 3시. 그림자의 위치는?”
  • 이미지 연출:
    • 전통 해시계와 지후가 얼굴을 맞대고 있는 장면.
    • 배경엔 한옥, 뒤에 초가집 몇 채.

✅ 컷 3: 고려시대의 물시계 미션

  • 장면 설명: 안개 자욱한 숲길. 지후가 포탈 문을 지나 고려시대 도착.
  • 대사
    • 지후: “이번엔… 물소리? 여긴 또 어디야…”
    • 수문장: “정확한 시간에 물을 멈춰야 다음 시대로 갈 수 있지.”
    • 미션판: “물이 한 칸 넘는 데 15분. 총 4칸이 넘으면 몇 분이 걸릴까?”
  • 이미지 연출:
    • 대나무숲과 수레 같은 도구, 물시계가 나오는 장면.
    • 지후가 고민하며 손가락으로 계산하는 모습.

✅ 컷 4: 1970년대 교실에서 벽시계 미션

  • 장면 설명: 1970년대 교실. 칠판, 나무 책상, 삐삐 전화기 같은 복고 분위기.
  • 대사
    • 지후: “와… 흑백 TV? 여긴 1970년대!”
    • 선생님: “지후야, 아침 7시 40분에 학교에 도착했지? 수업은 8시 30분에 시작해. 남은 시간은?”
    • 지후: “50분 남았어요!”
  • 이미지 연출:
    • 벽시계가 똑딱거리는 장면 강조.
    • 지후가 손목시계와 칠판을 번갈아 보며 계산.

✅ 컷 5: 다시 현재로! 마지막 퍼즐

  • 장면 설명: 시간의 회랑. 지후가 각 시대에서 얻은 열쇠를 들고 있다.
  • 대사
    • 지후: “조선 – 오후 3시, 고려 – 60분, 1970년대 – 50분… 다 합치면?”
    • 시간의 문: “시간의 합을 외쳐라!”
    • 지후: “3시 + 1시간 + 50분 = 4시 50분!”
    • 시간의 문(빛나며): “정답! 현재로 돌아갑니다!”
  • 이미지 연출:
    • 빛이 폭발하면서 지후가 포탈을 통과하는 장면.
    • 손에 시계를 들고 있는 모습이 강조.

✅ 컷 6: 엔딩 – 수학과 역사의 연결

  • 장면 설명: 교실로 돌아온 지후. 친구들과 선생님이 놀란 표정.
  • 대사
    • 친구: “지후야, 방금 어디 갔다 왔어?”
    • 지후: “수학 문제 풀다가 역사 속 여행을 하고 왔지~”
    • 선생님: “다음 문제도 기대해도 되겠네?”
  • 이미지 연출:
    • 지후가 윙크하며 시계 그림이 있는 문제지를 들어 보임.
    • 배경에 살짝 빛나는 시계 포탈이 보이는 이스터에그 연출.

 

>> 수정 및 보정없이 1차로 작성된 웹툰 이미지입니다.

이 이미지는 시간 이동과 관련된 수학 문제를 풀고 있는 어린 학생의 모험을 보여줍니다. 만화의 각 장면을 한글로 설명하겠습니다:

  1. 첫 번째 장면: 학생이 황색 셔츠를 입고 "어, 시계가 거꾸로 가는데 무슨 문제일까?"라고 말하며 문제를 보고 있습니다.
  2. 두 번째 장면: 전통 한복을 입은 노인과 대화하며 "이게 조선 시대인가요? 제가 어떻게 된 건가요?"라고 묻습니다. 노인은 "물을 특정 시간에 멈추면 다음 시대로 갈 수 있어."라고 말합니다.
  3. 세 번째 장면: 숲속에서 "물이 흐르고 있는데 지금 어디에 있죠?"라고 묻습니다. 대답은 여전히 "물을 정확한 시간에 멈추면 다음 시대로 갈 수 있어."입니다.
  4. 네 번째 장면: 1970년대의 오래된 TV 앞에서 "와, 오래된 TV네요. 이건 1970년대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선생님은 "너 7시 40분에 학교에 도착했구나. 수업은 8시 50분에 시작해."라고 말합니다.
  5. 다섯 번째 장면: "시간의 합을 구하세요!"라는 요청에 학생이 "3시 + 1시간 + 50분 = 4시 50분!"이라고 흥분되게 대답합니다.
  6. 마지막 장면: 교실에서 학생이 "나는 역사 속을 여행하며 수학 문제를 풀고 있었어요."라고 말하며 미소 짓고 있습니다.

 

놀랍지 않나요?

웹툰 이미지를 만들어줘.
#############
✅ 컷 1: 갈등 발생! 속상한 민지
장면 설명: 교실 안. 민지가 선생님께 혼나고 있다.

대사 선생님: "민지야, 친구랑 싸우면 안 돼. 서로 미안하다고 해야지."
민지(속마음): (울먹이며) "왜 나만 혼내시는 거지… 억울해."

이미지 예시: 민지의 슬픈 얼굴과 조금 엄한 표정의 선생님.

 

 

이처럼, 컷하나 하나를 세분화해서 이미지 생성을 요청하면, 더 정확한 이미지를 생성해줍니다.

 

이번에는 이미지 프롬프트들만을 넣어서, 새로운 이미지를 생성해보겠습니다.

 

 

미쳤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