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AI 마케팅 연구소 미래소년 이형진소장입니다.
오늘은 챗GPT에게 도형 하나를 그려달라고 했습니다.
[프롬프트]
한 변의 길이가 2미터인 정사각형에 내접한 원을 그려줘.
잘 그려주죠!
여러분, “한 변의 길이가 2미터인 정사각형에 내접한 원의 넓이를 구하시오.” 이 문제를 한번 풀어보시겠어요?
우리는 이 원의 넓이를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지름의 제곱 원주율(²)'로 구할 수 있지요. 1미터의 제곱 곱하기 파이입니다. 쉽지요.
챗,GPT한테도 한번 풀어봐달라고 하겠습니다.
잘 풀죠.
이번엔 과정도 보여달라고 한번 해볼께요.
근데, 그거 아세요?
실제로 인공지능은 이렇게 구하지 않습니다.
여러분은,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이라고 아시나요?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은 정사각형 속에 무작위로 발생시킨 점을 씁니다.
수십만 개, 수백만 개를 쏜 다음, 전체 점의 숫자에서 원에 들어간 숫자의 비율을 구합니다.
우리는 정사각형 넓이가 2mx2m=4m²라는 걸 알고 있습니다.
여기에 원에 들어간 점이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면, 그게 원의 넓이가 됩니다. 대단히 단순한 방식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구하는 게, 반지름의 제곱X원주율()로 구한 것보다 빠릅니다.
챗GPT는 1초에 312조번 실수 계산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공지능이 하는 일 중에 많은 부분이 이렇게 단순하게 더하기, 빼기를 하는 일입니다.
대단히 단순한 노가다를 무지막지한 속도로 하는 것이지요.
챗GPT에게도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에 대해서 알려달라고 해보겠습니다.
뭐가, 막 복잡한데, 암튼 그렇다고 합니다.
인공지능은 챗GPT는 우리 인간이 수식을 푸는 것처럼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의 풀이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고 결과물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실제 수식을 풀 때 사용하는 수치 해석 방법의 이해를 바탕으로 단계별로 설명을 구조화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각 단계별 의사결정을 사람이 푸는 방식에 맞춰 설명하고, 그에 따른 계산 결과를 수치적으로 표현해 내는 것이죠.
그러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요소가 결합되어야 합니다.
- 문제 풀이 과정에 대한 이해: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의 경우 무작위 점 생성, 조건부 판별, 비율 계산 등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를 하나하나의 논리적 흐름으로 구조화합니다. > 각 단계가 왜 필요한지 설명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거죠.
- 코드를 통한 계산 결과 표시: 사실상 코드를 통해 계산한 숫자(추정치)를 사람이 구한 값처럼 보여주려면, 수식이나 설명을 바탕으로 출력 결과를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정리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 사람의 사고 방식에 맞춘 설명: 설명을 인간의 사고 방식에 맞게, 적절한 비유나 논리 흐름을 추가하여, 풀이 과정을 사람이 하는 것처럼 서술합니다. 이렇게 하면 숫자나 결론이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 덕분에 몬테카를로 알고리즘으로 실제 수치를 계산하더라도, 사람이 푸는 과정처럼 단계적으로 접근한 것처럼 표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상입니다.
'AI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고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AI 정책 변화와 그 영향 (0) | 2024.11.24 |
---|---|
[보고서]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 혁신 이야기 (5) | 2024.11.22 |
[AI 마케팅 연구소] 초보자를 위한 인공지능 기초 이해 및 학습 방법 (2) | 2024.07.13 |
"ChatGPT의 탄생: 'Chat' 용어의 유래와 그 의미" (0) | 2024.05.23 |
[현실화된 자비스(?)] 챗GPT 4o. 최적화(Optimized) 확장(Omni) 개선(Overhauled) 궁극(Ultimate) 완벽함(Outstanding) (0) | 2024.05.15 |